HD현대일렉트릭 주가 분석
2025년 4월 11일 종가
주요 개요
HD현대일렉트릭 주가는 최근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우려 및 관세 이슈 등으로 변동성을 보였으나, 증권사들은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높은 목표 주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SK증권은 2025년 1월 목표주가를 57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하나증권도 같은 시기 목표주가를 50만 원으로 올리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목표가를 48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지만, 전력기기 부족 현상은 여전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의 1년 목표 주가 추정치는 평균 462,410원 수준이며, 최고] 60만 원까지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전력기기 호황 사이클 장기화,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생산 설비 증설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꼽힙니다. 다만, 북미 관세 문제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은 위험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최근 주가 동향
HD현대일렉트릭(267260)의 2025년 4월 11일 종가는 310,500원으로, 이는 전일 대비 1.11% 하락한 수치입니다. 최근 주가는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및 관세 이슈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2025년 3월 27일에는 주가가 8.71% 하락하여 30만 4000원으로 마감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 한 해 동안 주가가 162% 상승하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주요 지표
52주 최고가 | 450,000원 |
52주 최저가 | 200,000원 |
1년 목표 주가 추정치 | 462,410.12원 |
2025년 4월 11일 종가 | 310,500원 |
긍정적 전망 요인
전력기기 호황 사이클 장기화
전력 유틸리티 기업들의 투자가 지속되면서 전력기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텍사스전기신뢰성위원회(ERCOT)와 전력망운영업체 PJM은 향후 전력 수요가 2035년까지 연평균 각각 6.1%, 2.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는 HD현대일렉트릭의 중장기적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생산 설비 증설
HD현대일렉트릭은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변압기 공장 증설에 4000억 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울산 및 알라바마 사업장에 투자를 진행하여 2028년부터 본격 가동, 연간 3000억 원의 추가 매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전기기 시장 공략
HD현대일렉트릭은 미국 '디스트리뷰테크 2025'에 참여하여 제품을 선보이는 등 글로벌 배전기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배전기기 시장은 2034년까지 연평균 7.6% 성장이 예상되어 HD현대일렉트릭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위험 요인
북미 관세 문제
미국 관세 부과 정책으로 인한 리쇼어링 현상은 HD현대일렉트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언급은 변압기 업계에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는 HD현대일렉트릭의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은 HD현대일렉트릭의 성장성에 대한 주요 리스크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중국 법인 매출
2024년 4분기 미국과 중국 법인의 매출이 적자 전환된 것은 우려할 만한 부분입니다.
증권사 목표 주가
여러 증권사들이 HD현대일렉트릭에 대한 목표 주가를 제시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SK증권 | 570,000원 | 매수 |
하나증권 | 500,000원 | 매수 |
신한투자증권 | 480,000원 | - |
SK증권은 2026년 주당순자산(BPS)을 기준으로 목표 주가를 산정하여 57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하나증권 역시 2026년 예상 EPS에 PER 22배를 적용하여 목표 주가를 50만 원으로 제시했습니다.
종합 결론
HD현대일렉트릭은 전력기기 시장 호황,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생산 설비 증설 등의 긍정적인 요인에 힘입어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다만, 북미 관세 문제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으로 보는 이재명 관련주 분석 (4) | 2025.05.14 |
---|---|
코인베이스 매출 및 주가 전망 (3) | 2025.05.14 |
퓨리오사AI엔비디아 GPU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대한민국 AI 반도체 설계 회사 (2) | 2025.04.14 |
트럼프 관세 시대, 흔들리지 않는 투자 전략 가이드 (3) | 2025.04.10 |
관세 전쟁 시대, M7 주식 투자 전략: 리스크와 기회 분석 (3) | 2025.04.07 |